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- Home Assistant
- matter
- 미국주식
- 힐스테이트 광교산
- 티스토리챌린지
- 오블완
- 퀄컴
- 현대통신
- 취미생활
- Python
- 엔비디아
- 파이썬
- Bestin
- 홈네트워크
- 나스닥
- 월패드
- Espressif
- ConnectedHomeIP
- esp32
- homebridge
- Apple
- raspberry pi
- 해외주식
- 코스피
- 애플
- MQTT
- 매터
- 국내주식
- RS-485
- 배당
- Today
- Total
목록국민연금 (2)
YOGYUI

올해도 어김없이(?) 국민연금 기준소득월액 상·하한액이 상승했다 상한액이 기존 524만원에서 553만원으로 29만원 상승 (상승률: 5.534%) 상한액 이상의 급여(공제 전)를 받고 있다면, 국민연금 공제액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국민연금납부액=기준보수월액×요율 직장인은 요율 9% 중 4.5%는 회사에서 납부해주기 때문에 4.5%만 곱해주면 된다 2022년 6월까지의 납부액 5,240,000×0.045=235,800 2022년 7월부터의 납부액 5,530,000×0.045=248,850 공제액이 235,800원에서 248,850원으로 13,050원 상향... 연간으로 따지면 156,600원이 더 빠져나가게 된다 작년 포스팅에..

7월 급여가 입금됐는데 뭔가 미묘하게 금액이 줄어있어서 뭔가 싶어서 찾아봤더니 국민연금 공제액이 약간 상승했다 2021년 7월부터 내년 6월까지 국민연금 기준소득월액의 상∙하한액이 조정되어 적용된다 공제액이 226,350원에서 235,800원으로 9,450원 상향됐다 6월과 7월 모두 상한액 이상으로 월급을 받고 있었기에 인상분 계산은 쉽게 계산할 수 있다 국민연금납부액=기준보수월액×요율 직장인은 요율 9% 중 4.5%는 회사에서 납부해주기 때문에 4.5%만 곱해주면 된다 2021년 6월까지의 납부액 5,030,000×0.045=226,350 2021년 7월부터의 납부액 5,240,000×0.045=235,800 회사 입장에서도 9,..